포스트

[Project] DNF 캐릭터 명성 높이기

DNF 내 캐릭터 명성 높이기 프로젝트

[Project] DNF 캐릭터 명성 높이기

[데이터 분석] 내 캐릭터 명성 높이기 프로젝트

문제인식

던전앤파이터를 시작한지 한달이 되어가고 있다. 키메라라는 직업이 내 눈에 매력적으로 다가와 본캐로 잡아 아라드 패스와 패키지를 구매하여 키우고 있다. 베누스와 안개신을 쩔 받으면서 키우고 있으나, 명성과 딜을 높여 스스로 레이드를 뛰는 것을 목표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에픽무기를 먹은 이후 명성 47345에서 올리는 것에 한계를 느꼈다.

던전엔파이터 게임 내에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추천 아이템은 종결 아이템이며 유튜브를 봐도 어디부터 손을 봐야될 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본 프로젝트는 내 캐릭터보다 높은 명성의 캐릭터는 어떻게 템 세팅이 되어있고 어디부터 템을 맞춰야 싸게 맞추어 나갈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즉, 명성은 높으나 나와 비슷한 장비를 장착한 캐릭터는 어떻게 명성을 높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기간: 2025.07.07
  • 데이터 출처: 던파 API

neople_logo

  • 현재 종결 부분
    • 크리쳐 -> but 기간제
    • 칭호
    • 아바타(피부, 오라 제외)
  • 가지고 있는 부분
    • 패스권(무재한 변환)
    • 1700만 골드
    • 이벤트 재화(상점에서 구매 가능) -> 버프 강화 장착 장비 구매 가능(최대 2개)
  • 필요한 부분
    • 크리쳐 or 오라 -> 기간제 대비
    • 피부 아바타 엠블럼(그 전에 피부 아바타 소캣 뚫어야함)
    • 버프 강화 부분(크리쳐 제외)
  • 요약
    • 명성을 높이는 데 한계를 느꼈다.
    • 내 캐릭터보다 높은 명성을 가진 캐릭터를 분석하여 템세팅을 효율적으로 맞추어 나가고자 한다.
    • 이때 장비 명성은 나와 비슷한 캐릭터를 추출하여 장비 이외 명성을 높인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1 내 캐릭터 타임라인 정보(던전 드랍&던전 카드 보상)

itemRarity

itemRarity2

  • 워터파크 던전에서 레전더리 장비만 먹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setitemname

setitemname2

  • 무리 사냥의 길잡이 세트를 많이 먹었으나, 중복을 제거하면 다른 세트와 비슷하게 먹은 것을 알 수 있음

setitemname-itemRarity

  • 레전더리만 먹은 세트가 존재하며 태초는 골고루 먹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내 캐릭터 타임라인 정리

  • 태초를 초반에 먹은 이후로는 획득한 이력이 없다. 또한, 태초 세트가 각각 다르다.
  • 레전더리 -> 에픽 -> 태초 순으로 확득량을 볼 수 있다.
  • 워터파크 던전에서는 레전더리만 먹었다.
  • 중복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먹은 세트는 “무리 사냥의 길잡이”, “용투장의 난”,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로 보인다.
  • 레어리티별로 확인 결과 “무리 사냥의 길잡이”,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가 높은 레어리티 획득을 보인다.

결과: “무리 사냥의 길잡이”, “용투장의 난”,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위 3세트가 높은 획득율을 보이고 있다.

2. 명성 48000 - 50000 캐릭터 정보 비교

명성 48000 ~ 50000까지 50단위로 200명씩 추출(25.07.07) -> 총 7758명 추출

  • 내 캐릭터 장비 명성(22123)

fame_histogram

  • 내 장비 명성과 비슷한 사람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있음. 그 다음으로는 19000, 25000 순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현재 나의 명성대에서는 내 장비 명성이 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장착 장비 명성 (21600 - 22390) 캐릭터 추출(총 3813명)

장착 스킨 아바타 분포

slotNamecount
오라 아바타3811
상의 아바타3725
하의 아바타3725
모자 아바타3724
신발 아바타3723
얼굴 아바타3723
머리 아바타3722
허리 아바타3721
목가슴 아바타3720
무기 아바타3582
스킨 아바타1027
오라 스킨 아바타16
  • 점핑 이벤트로 모두 획득 가능한 오라 아바타가 가장 많으며 오라 스킨 아바타는 사치의 영역이기에 가장 적음

장착 스킨 아바타 엠블렘 시각화

  • 스킨 아바타에 엠블렘을 장착하는 캐릭터 수: 253명

skin_emblems

skin_emblems_pair

  • 장바구니 알고리즘결과
antecedentsconsequentssupportconfidencelift
(2:빛나는 붉은빛 엠블렘[힘])(1:빛나는 붉은빛 엠블렘[힘])0.1501981.0000006.487179
(1:빛나는 붉은빛 엠블렘[힘])(2:빛나는 붉은빛 엠블렘[힘])0.1501980.9743596.487179
(1: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2: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0.3043480.9871793.243590
(2: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1: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0.3043481.0000003.243590
(1:화려한 붉은빛 엠블렘[힘])(2:화려한 붉은빛 엠블렘[힘])0.2173911.0000004.600000
  • antecedents: 규칙의 선행 조건(조건부, 왼쪽, if 부분)
  • consequents: 규칙의 결과(결론, 오른쪽, then 부분)
  • support: 전체 거래 중 해당 규칙(antecedent와 consequent가 동시에 등장)이 나타난 비율
  • confidence: antecedent가 나타났을 때 consequent도 함께 나타날 확률(조건부 확률)
  • lift: 두 아이템 간의 연관 강도(1보다 크면 양의 상관관계, 1이면 무관, 1보다 작으면 음의 상관관계)

  • 종합
    • 매우 강한 연관성: 특정 슬롯(1번, 2번)에 동일한 종류의 엠블렘(빛나는/찬란한/화려한 붉은빛 엠블렘[힘])이 함께 장착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 Lift 값이 모두 1을 크게 초과: 두 슬롯에 같은 엠블렘을 장착하는 것이 우연이 아니라, 실제로 유저들이 의도적으로 그렇게 세팅하고 있다는 신뢰 높은 증거

skin_emblems_network

  • 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을 가장 많이 장착하고, 대부분 동일한 엠블렘은 아바타에 장착함

장착 오라 아바타 시각화

  • 오라 아바타에 엠블렘을 장착하는 캐릭터 수: 768명

aurora

  • 점핑 이벤트 오라가 가장 많다. 그 다음으로는 종결 오라 아바타인초월한 폭풍의 기세가 많으며, 로얄 패스로 인하여 로얄 오라 아바타가 다음으로 많다.

장착 크리쳐 시각화

top5_creature

fame_creature

famecountpercent
31530.07874
810354593.0446
889240.629921
9912386.24672
  • 당연하게 점핑 크리처가 많다.
  • 해상구조대 패키지를 판매하고 있기에 종결 크리쳐인베테랑 해상구조대 달이가 다음으로 많다.
  • 의외로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기간제]가 아닌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가 다음으로 많다. 이는 로얄 패스 무제한권을 크리처에 바로 사용하거나 베테랑 해상구조대 달이가 경매장에 많이 판매되는 영향일 수 있다.

버프 스킬 강화 장착 장비 시각화

buff_eqipment_count

slot_countequip_countpercent
0309581.1697
158115.2373
2591.54734
3290.760556
4110.288487
5130.340939
690.236035
730.078678
820.052452
950.13113
1020.052452
1340.104904
  • 80%의 캐릭터가 버프 스킬 강화에 투자를 안하는 것을 볼 수 있다.
slotNamecountpercent
칭호59683.0084
무기18325.4875
상의9413.0919
하의496.82451
머리어깨354.87465
신발223.06407
벨트223.06407
귀걸이202.78552
마법석202.78552
반지172.36769
목걸이152.08914
보조장비152.08914
팔찌152.08914

buff_eqipment_item

buff_eqipment_style

  • 칭호가 가장 많은 원인은 모험가의 의지칭호가 세라샵에 9900원에 판매하는 것과 더불어 점핑 이벤트로 받은 칭호를 버프 스킬 강화 칭호에 장착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버프 스킬 강화 장착 아바타 시각화

buff_jacket

buff_jacket_emblems

buff_pants

buff_pants_emblems

  • 종결 아바타인 레어 상의/하의 클론 아바타가 가장 많으며, 엠블럼은 메인인 플레티넘 엡블렘 중 [큐브 오브 마테리얼리즘]스킬을 가진 엠블렘이 가장 많다.
  • 종결 엠블렘인 찬란한을 많지 않고 빛나는이 많은 것이 의외의 사실이다.

버프 스킬 강화 장착 크리쳐 시각화

ubff_creature

  • “디그밍의 여름을 부탁해”와 “미라클의 썸머 바캉스 계획표”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파팡파팡 8비트 모험가 크리쳐+보주 상자”로 인하여 파팡파팡 8비트 아처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키메라는 아처 직업이라 아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

  • 아바타
    • 캐릭터 3813명 중 스킨 아바타에 엠블렘을 쓰는 사람은 253명으로 10%도 안된다. 또한, 오라 아바타에 엠블렘을 쓰는 사람은 768명으로 약 20%정도 사용한다. 그만큼 이벤트로 제공한 엠블렘이 아닌 구매하는 부분의 엠블렘 사용 비중이 크지 않다.
    • 오라 아바타는 3539명이 이벤트로 받은 오라 아바타를 사용한다.
    • 대부분의 캐릭터는 동일한 엠블렘으로 소켓에 넣는다.
  • 크리쳐
    • 대부분 이벤트 크리쳐를 사용하지만 6%는 종결 크리쳐(명성 991)을 사용한다.
    • 종결 크리쳐는 최근 해상구조대 패키지에 포함되어있는 “베테랑 해상구조대 달이”, 프리미엄 코인으로 구매하거나 로얄 패스로 무제한으로 변환가능한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 해상 구조대 패키지에서 적은 확률로 획득 가능한 “베테랑 해상구조대 리나”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신기한 점은 오라 아바타에서는 로얄 패스 오라[기간제]가 무제한인 아라드 로얄 패스 오라 보다 높았으나 크리쳐에서는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의 기간제를 찾아볼 수 없다.
  • 버프 스킬 강화 장비
    • 버프 스킬 강화 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캐릭터가 3095명으로 약 80%를 차지한다.
    • 1개이상 착용하는 캐릭터 중 칭호를 장착하고 있는 캐릭터는 83%이며 그 다음으로는 무기로 25%를 차지하고 있다.
    • 버프 스킬 강화 칭호로는 이누야사 패키지로 받을 수 있는 “모험가의 의지”를 많이 장착하고 있으며, 속성마다 스킬 올려주는 레벨 구간이 다르며 키메라의 경우 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다음으로는 캐릭터 육성하면 받을 수 있는 [EVENT]세리아의 풍성한 선물 Ver.2, 로얄 패스 기간제로 받을 수 있는로얄 패스 버프 강화 칭호[기간제]순으로 많이 사용한다.
  • 버프 스킬 강화 아바타
    • 버프 스킬 강화 아바타로 종결인 레어 (하의/상의) 클론 아바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엠블럼으로는 플래티넘 엠블렘[큐브 오브 마테리얼리즘], 다음은 언커먼인 빛나는 녹색빛 엠블렘[물리크리티컬]이다. 상의의 경우 레어인 화려한, 유니크인 찬란한순으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하의의 경우 유니크, 레어 순으로 반대이다.
  • 버프 스킬 강화 크리쳐
    • 디그밍의 여름을 부탁해미라클의 썸머 바캉스 계획표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파팡파팡 8비트 모험가 크리쳐+보주 상자로 인하여 파팡파팡 8비트 아처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결론
    • 스킨 아바타 엠블럼 사용은 10%미만으로 후순위로 미뤄도 괜찮을 거 같다.
    • 종결 크리쳐와 오라의 가격을 비교해보고 결정 -> 로얄 패스 크리쳐를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크리쳐가 더 비싼것으로 예상
    • 버프 스킬 강화 장비 모험가의 의지 가격 확인 필요. 무기 및 다른 장비는 미라클의 썸머 바캉스 계획표에서 2개 구매 예정
    • 레어 (하의/상의) 클론 아바타 가격 확인 필요 -> 후 엠블럼 가격 확인

3. 가격 비교

  • 경매장 등록 아이템 검색 API 사용

오라 vs 크리쳐 가격 비교(패스 무제한 변견권 선택 이유)

itemNameitemRarityitemTypeDetailunitPriceaveragePrice모험가 명성
베테랑 해상 구조대 달이알레어크리쳐2200000022931621991
초월한 폭풍의 기세 오라 상자레어선택 부스터3198800031599208645
베테랑 해상 구조대 리나알레어크리쳐3300000029900000991
SD 흰 구름 전령 에플리히알레어크리쳐6899999868000000991

스킨 아바타 엠블럼 가격 비교

itemNameitemRarityitemTypeDetailunitPriceaveragePrice모험가 명성
빛나는 붉은빛 엠블렘[힘]언커먼엠블렘38888600092610
화려한 붉은빛 엠블렘[힘]레어엠블렘6290006318523017
찬란한 붉은빛 엠블렘[힘]유니크엠블렘789999979853693625
  • 스킨 아바타 엠블럼 + 소캣 생성기 가격 = 17599998 골드(1759만 골드)

버프 아바타 엠블럼 가격 비교

itemNameitemRarityitemTypeDetailunitPriceaveragePrice모험가 명성체력지능정신력물리 크리티컬 히트
빛나는 녹색빛 엠블렘[물리크리티컬]언커먼엠블렘170002480026NaNNaNNaNNaN1.2%
화려한 녹색빛 엠블렘[물리크리티컬]레어엠블렘17299919590030NaNNaNNaNNaN2.2%
찬란한 녹색빛 엠블렘[물리크리티컬]유니크엠블렘99999996512536NaNNaNNaNNaN3%
플래티넘 엠블렘[큐브 오브 마테리얼얼리즘]레전더리엠블렘150000017019302328.08.08.08.0NaN

버프 장비 가격 비교

itemNameitemRarityitemTypeDetailunitPriceaveragePrice모험가 명성
레어 상의 클론 아바타레어상의8,600,0008,988,91988
레어 하의 클론 아바타레어하의8,775,5558,800,00388
모험가의 의지[칭호]레어칭호11,000,00038,510,417491
  • 버프 강화 레어 상의/하의 아바타 가격 + 엠블렘 가격 = 24375551 골드(2437만 골드)

결론

  • 현재 골드: 1700만 골드

  • 가격 비교
    • 가장 가격이 낮은 크리쳐는 2200만 골드, 오라 아바타는 3198만 골드로 오라 아바타가 크리쳐보다 높다. 하지만,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 알은 6899만 골드로 가격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의 외형이 마음에 든다면 무제한권을 사용해도 비용적으로는 나쁘지않은 선택이다.
    • 버프 스킬 강화 아바타 및 엠블렘 총 가격은 2437만원으로 현재는 구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로얄 패스에서 플레티넘 엠블렘을 획득할 수 있다.
    • 버프 스킬 강화 칭호인 모험가의 의지[빛]은 1100만원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 스킨 아바타 엠블렘 및 소캣 생성기는 1759만원으로 구입은 가능하나 엠블렘을 사용하는 캐릭터가 10%도 안되어 우선순위에서 밀린다. 하지만, 로얄 패스에서 찬란한 엠블렘을 획득할 수 있어 소캣 생성기만 구입하면 완성할 수 있다.
  • 우선순위
    •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 무제한 변경
    • 모험가의 의지[빛]
    • 스킨 아바타 소캣 생성기
    • 버프 스킬 강화 아바타 + 엠블렘(플레티넘 제외)
    • 오라 아바타

※ 추가

  • 이벤트로 버프 스킬 강화 칭호를 지급하는 경우가 있어 기다리는 방법도 가능하다.(8월 20주년 이벤트에 나올 가능성이 있음)

결과

  1. SD 흰 구름 전령 에를리히 무제한 변경 완료
  2. 미라클의 썸머 바캉스 계획표상점에서 버프 스킬 강화 장비 선택 상자 구매 및 장착(무기, 반지)
  3. 장착 장비 세트 변경(고대 전장의 발키리 ->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명성: 47345 -> 52695

예정

  1. 로얄 패스 버프 강화 칭호[기간제] 기간이 끝나면 모험가의 의지[빛] 구매 에정
  2. 소캣 생성기 구매 및 로얄 패스에서 엠블렘 수령 및 장착 예정
  3. 골드를 모아서 -> 오라 아바타 구매 예정

차후 분석

  • Case 1: 캐릭터 마법부여 카드 분석
  • Case 2: 장비 융합석 분석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